티스토리 뷰

교육과정의 유형 - 개념상의 유형

교육과정의 유형중 하나는 개념상의 유형입니다. 이것은 공식적 교육과정, 잠재적 교육과정, 영교육과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공식적 교육과정은 형식적인 공적 문서 속에 기술되어 있는 교육 계획을 교육목적과 교육목표에 따라 구체적이고 분명하게 의도된 교육과정을 말합니다. 여기에는 국가 교육과정 기준은 담은 국가 수준의 문서, 시·도교육청의 교육과정 편성, 운영지침, 지역 교육청의 장학 자료, 학교교육과정 또는 학교교육계획서가 들어갑니다. 잠재적 교육과정은 공식적으로나 표면적으로 의도하지 않았지만 학생이 학교생활을 통해서 알게 모르게 얻게 되는 모든 경험을 말합니다. 이러한 경험은 공식적으로 의도된 것이 아닙니다. 하지만 교육과정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학생들이 삶에서 요구하는 매우 중요하고 의미 있는 것들을 배우게 됩니다. 이것은 지적인 영역보다는 흥미, 태도, 신념과 같은 것의 발달과 관련이 있습니다. 영교육과정은 공적인 문서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거나 포함되어 있더라도 의도적으로 가르치지 않는 교육내용을 말합니다. 이것은 학생들이 공식적인 교육과정을 배우는 동안 놓칠 수 있는 부분입니다.

의사결정 수준상의 유형

교육과정의 유형중 하나는 의사결정 수준상의 유형입니다. 이것은 국가수준 기준교육과정, 시·도교육청 지침 교육과정, 학교교육과정으로 나뉩니다. 국가수준국가 수준 기준교육과정은 국가 수준에서 고시하는 교육과정입니다. 교육에 대한 국가의 의도를 담고 있습니다. 이것은 일반적·공통적·기본적·요강적인 기준을 제시하고 있고 있습니다. 시·도교육청 지침 교육과정은 지역수준의 교육과정을 말합니다. 시·도교육청 수준에서 고시하는 교육과정 편성, 운영지침입니다. 이것은 지역의 특성, 실태, 요구를 고려하여 편성하고 운영하는 지침으로 지역별로 상의합니다. 학교교육과정은 학교의 실정, 학생의 실태를 고려한 구체적인 교육과정입니다. 단위학교에서는 상위 수준의 교육과정을 참고로 해서 학교 특성에 맞는 특색 있는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운영해야 합니다. 학부모나 학생, 교사의 특성과 실태를 교육과정 중에 반영하여 학교 차원의 교육계획서를 작성합니다. 단위학교에서는 학교교육계획서 안에 교육과정의 편성, 운영, 평가 부분을 포함하여 교육과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교육과정의 유형 - 내용 조직상의 유형

교육과정의 유형중 다른 하나는 내용 조직상의 유형입니다. 이것은 교과중심 교육과정, 경험중심 교육과정, 학문중심 교육과정, 인간중심 교육과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교과중심 교육과정은 인류 문화유산의 핵심적인 것을 체계적으로 조직하여 이를 전수하는 것이 주목적입니다. 이것은 이것의 교육내용은 주지주의나 이성주의적 사고상식에 입각합니다. 문화유산 전달이 용이하고 체계적이며 평가나 측정이 용이하지만 학생들이 수동적으로 학습태도를 가질 수 있고 비판력, 창의력을 키우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경험중심 교육과정은 활동중심 교육과정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교과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에서 나왔습니다. 경험중심 교육과정은 학교의 지도하에 학습자가 가지게 되는 모든 경험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학문중심 교육과정은 학문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을 습득해서 보다 넓은 사회에 적응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교육과정의 대상으로 선정될 수 있는 지식을 정당화될 수 있는 신념, 사회적 유용성, 교육의 기초가 되는 필수지식이 된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인간중심 교육과정은 교육의 대상으로 인간으로 바라보는 눈이 달라졌습니다. 교육이란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서만 행해지는 것이 아니라 인간에 대한 이해, 인간성의 개발, 타인과의 관계, 새로운 인간형의 창조를 위해 행해지는 것이고, 그러한 내용들을 교육목표로 삼아야 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