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교육과 사회의 관계
교육과 사회의 관계는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교육은 진공상태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역사적·사회적 맥락 속에서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교육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해당 사회가 처한 역사적·사회적·문화적·경제적 맥락을 이해하는 일이 필요합니다. 이런 필요성에 부응하는 교육학의 분과가 교육사회학입니다. 교육사회학은 사회학적 관점이나 사회학적 상상력에 기초로 하여 교육을 연구하는 분야입니다. 사회학적 관점이란 우리의 개인적 삶이 사회적 경험의 맥락에 의해 영향을 받는 , 복잡하고 미묘한 근원적인 방식을 이해하는 것을 말합니다. 사회학적 상상력이란 사회문제들의 의미와 맥락을 올바로 파악하는 안목을 말하는데 사람들로 하여금 익숙해진 일상생활의 타성에서 벗어나 모든 것을 새롭게 바라볼 수 있게 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교육과 사회의 관계를 연구하는 관점에는 기능주의와 갈등이론이 있는데 이 두 가지는 서로 대립합니다. 기능주의는 일찍부터 교육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를 지배해 온 전통적인 관점입니다. 갈등이론은 마르크스주의 전통에 서 있고 사회가 계급적 갈등과 불평등을 포함하고 있다고 봅니다.
사회화로서의 교육
사회화로서의 교육은 아동과 청소년의 발달과정을 그들이 살아가는 환경세계로서의 사회와 연관해서 살펴보고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사회화의 개념을 프랑스의 사화학자 에밀 뒤르켐이 처음 사용했습니다. 그것은 인간이 사회의 일원이 되는 과정이나 사회적 조건을 통해 사람들의 인성과 인격이 만들어지는 과정이라는 의미로 쓰였습니다. 사회화에 대한 연구는 주로 사회적으로 주어진 태도, 역할, 지향들을 사람들이 어떻게 습득, 내면화하는가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초기에는 사회는 사람들을 적응시키는 강력한 힘처럼 보였습니다. 그리고 사회의 영향력은 개인을 집어삼키는 운명적인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오늘날에는 사회화에 대한 연구의 초점이 사회의 외적인 영향력보다는 인간의 주체형성 과정, 반성능력, 주도적으로 환경을 취급하고 형성하는 능력으로 바꾸고 있습니다. 사회화의 개념은 개별주체와 사회의 광범위한 상호작용 과정을 포괄하고 있습니다. 교육은 우리가 특정한 가치 기준에 따라 타인의 인성발달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 동원하는 모든 행동과 조치를 가르킵니다. 사회회와와 교육의 극명한 차이는 명확한 의도를 가지고 진행되는 사회화 과정인지 아니면 개인과 사회 간에 이루어지는 모든 상호작용인지에 있습니다. 교육은 사회화에 기여할 수 있지만 모든 사회화 과정이 곧 교육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사회화를 설명하는 이론
사회화를 설명하는 이론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사회화 과정에 대한 하나의 합의된 이론은 아직까지는 없습니다. 사회화를 해명하기 위해 제시되었던 이론들과 그 기본내용을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사회화 연구자들은 기존의 이론들을 두가지 유형으로 분류했습니다. 하나는 심리학에 기초한 사회화 이론이고 다른 하나는 사회학에 기초한 사회화 이론 등이 있습니다. 심리학에 기초한 사회화 이론에는 행동주의 심리학, 정신분석학, 인지적 발달 심리학, 생태학적 입장에 기초한 사회화 이론이 있습니다. 사회학에 기초한 사회화 이론에는 구조기능이론, 상호작용적 이론, 사회 이론 등이 있습니다. 행동주의 심리학은 학습을 어떤 대체에게 자극과 반응의 결합이 생겨나는 것으로 이해합니다. 정신분석학은 인성의 발생과 태도의 형성에 무의식이 영향을주고 있다고 강조합니다. 발달 심리학은 인간의 생리적 성숙과정, 사물과의 교섭, 사회적 상호작용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진행되는 과정이라고 이해합니다. 사회생태학에서는 인간과 환경간의 긴밀한 상호적 관계를 주목하고 있습니다. 구조기능주의는 역할의 습들을 통해서 사회화가 진행된다고 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