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교육사

교육사와 교육철학은 교육학의 중요한 분과 중 하나입니다. 이것은 교육의 목적, 의미, 가치에 대해서 살펴보는 학무입니다. 그중 교육사는 교육의 역사를 알아보는 분과입니다. 이때 교육의 역사를 알아보는 것뿐만 아니라 그것을 둘러싸고 제기되었던 이론과 사상 모두를 알아봅니다. 그렇기에 교육사는 역사상 등장했던 교육의 제도, 정책, 철학, 인물, 시대적 문제, 해결방안 등을 역사학적으로 다룹니다. 이것을 알기 위해 역사학이 무엇인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콜링우드에 의하면 역사는 현재를 살아가는 인간이 "과거에 행해진 인간의 행동들을 증거의 해석이라는 방법을 구사하여 연구함으로써 보다 나은 자기 인식에 도달하려 하는 과학"이라고 합니다. 교육사는 "과거에 이루어지고 행해진 교육 행위 및 현상들을 역사적 관점에서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말합니다. 교육사 연구에서 핵심적 역할을 하는 것은 교육사가의 역사관, 관점입니다. 이것이 중요한 이유는 어떤 관점을 취하느냐에 따라서 서술하는 내용과 그 의미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교육사의 연구 대상은 각 시대의 교육 제도와 실천을 다루는 부분과 교육에 대한 철학과 이론과 사상을 다루는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전자는 교육제도사라 하며, 후자는 교육사상사라고 합니다. 

교육철학

교육철학은 교육의 본질, 목적, 방법, 교육과 관련된 이론적·실천적 문제 등에 대해 철학적으로 연구하는 일체의 학문적 활동과 그 결과를 말합니다. 교육철학에 대한 견해가 다양합니다. 첫째, 교육철학을 일종의 교육관으로 보는 견해입니다. 이것은 철학을 모든 사람이 가지고 있는 인생관과 등치시키는 입장과 비슷합니다. 둘째, 교육철학을 전문철학을 교육의 영역에 적용한 학문으로 보는 견해입니다. 셋째, 교육철학을 교육의 일반이론으로 보는 견해가 있습니다. 교육철학은 학문으로서는 교육학의 일부이지만 교육학의 이론 체계 전체에 대한 메타적인 연구이며, 교육학의 다른 분과에 의해서 해명될 수 없는 교육의 목적, 가치, 의미에 대해서 합당한 설명을 제시하는 학문입니다. 교육철학은 교육 전체의 근본적인 원리와 가치, 목적에 대한 연구에 스스로를 가둬서는 안 되고, 교육실천의 올바른 방향 설정이나 교육의 실척적 문제해결을 위해서 교육학의 다른 분과들과 협력해야 합니다. 교육철학은 합리성에 기초한 이론적 탐구를 통해서만 현실의 교육문제에 대한 실천적 개입을 할 수 있으며, 반대로 현실의 교육문제에 대한 실천적 관심이 없이 진행되는 철학적 사유는 공허한 이론에 묻혀일 수밖에 없습니다. 교육의 의미, 목적, 가치 및 교육학의 학문성에 대한 근본적이고 원리적인 탐구라고 여겨야 하며 직간접적으로 실천저 교육의 문제해결과 긴밀히 연관되어 있어야 합니다.

철학적 사고가 결여된 교육학의 문제

철학적 사고가 결여된 교육학의 문제는 교육이 실천 과정에서 철학적 반성이 결여된 채 맹목적으로 주어진 가치기준이나 선입견, 현실적 필요성에 안주하고 있는 상황에 대한 문제입니다. 맹목적인 교육이란 자기가 지금 어디에 서 있으며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는지를 전혀 모른채 우왕좌왕하는 교육을 말합니다. 철학적 사고가 결여된 교육이 명목적인 교육처럼 나침반이 없는 배와 같이 풍랑에 흔들리며 조류에 휩쓸릴 수 있습니다. 교육은 철학을 통해서만이 비로소 주어진 상황 속에서 자신의 현재적 의미와 진행 방향에 대해 반성할 수 있습니다. 인간에게 있어서 교육은 삶에 있어서 필연적인 조건입니다. 인간은 생존을 필수적인 것이 육체적인 힘과 본능적 능력에 있지 않습니다. 오직 후천적인 교육을 통해서만 가능합니다. 삶의 조건이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는 이러한 시대에 교육은 자신의 목적과 기능, 내용과 형식을 끊임없이 새롭게 규정해 나가야 합니다. 교육은 한 사회가 내면과 외면의 긴장으로 인해 고통받고 있을 때, 가장 먼저 자신을 부수고 새로 구성함으로써 전제의 긴장을 해소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철학의 관여가 필요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방향 상실의 늪에 빠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