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교직실천을 위한 기본 지식
교직실천을 위한 기본 지식에는 전문지식, 일반교양지식, 교수학적 실천지식이 있습니다. 교사가 지녀야 할 자질 중 교과에 대한 전문지식은 필수적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전공과목에 대한 지식은 교사 선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인입니다. 이것은 외국에서도 상당히 중요한 자질입니다. 미국교사교육연구회에서는 교사에게 필요한 필수적인 자질로 전공과목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일반교양지식도 중요하게 보고 있습니다. 교사는 자신이 전공하는 교과 외에 역사, 사회, 인간 일반에 대한 풍부한 지식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입니다. 지식과 교양을 갖춘 건전한 시민을 기르기 위해서는 문학, 음악, 미술 등 예술에 대한 소양과 역사, 철학 등 상식이 주축이 된 일반교양 등에 대한 지식도 교사에게 필요합니다. 그런데 교과에 대한 지식이 아무리 풍부하더라도 학습자에게 전달하지 못한다면 무용지물입니다. 그래서 교사에게는 정확하고 풍부한 지식을 전달할 수 있는 교수 기술, 즉 교수학적 실천지식이 필요합니다. 교사는 수업 상황을 잘 이끌어 가도록 전문적인 교수방법을 습득하고 활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교수학적 실천지식에는 평가기술도 포함됩니다. 평가의 목적은 교수과정과 학습과정에 최대한으로 도움을 주고 그렇게 함으로써 학생의 학습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함입니다.
학생들에 대한 깊은 이해력
학생들에 대한 깊은 이해력은 유능한 교사가 되기 위해서 갖추어야 할 능력입니다. 교사의 직무수행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이 아동기로부터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고유한 특징들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피아제, 에릭슨, 콜버그, 하비거스트 등이 매 성장단계에서 학생의 심리적·행동적 특성을 규명하는 작업을 통해 그 분야의 지식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왔습니다. 하비거스트는 삶의 중요한 각 단계에서 학생들이 해결해야 하는 '발달과제'를 제시해 줌으로써 학생에 대한 깊은 이해에 도움을 주었습니다. 그리고 교사는 학생 개개인의 상황과 요구를 파악할 수 있는 해석학적 능력을 갖추어야 합니다. 학생의 내면에 대한 교사의 해석은 언제나 불완전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것은 가다머가 말한 '해석학적 순환'의 과정을 통해서 조금씩 파악할 수 있습니다. 교사는 학생들의 일반적이고 개별적인 심리적 특성과 요구를 이해하지 못한다면 교과에 대한 지식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없고 그들의 성장과정에서 절실하게 필요로 하는 도움을 제때에 제공할 할 수 없기 때문에 학생 내면에서 일어나는 일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교직실천을 위한 자기성찰 능력
교직실천을 위한 자기성찰자기 성찰 능력은 교사에게 필요한 능력입니다. 자기 성찰 능력이란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알고 자신을 돌아보고 감정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교사에게는 다양한 종류의 해야 할 일들이 있습니다. 교사는 지식과 능력을 전수하고, 학생의 인격발달과 자립성 형성에 도움을 주고, 학생의 개인적인 발달과정을 평가하며, 생활이나 학업에서의 어려움에 대해 상담해 주고, 학교와 지역사회의 발전과 개선에도 기여해야 하는 일을 합니다. 이렇게 많은 일을 해야 하는 교사에게는 자기 성찰 능력이 필수적입니다. 1966년 유네스코에서는 '교원의 지위에 대한 권고'에서 "교직은 엄격하고도 계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습득, 유지되는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필요로 하는 공공적 업무"라고 규정하였습니다. 교사는 자신의 직업이 요구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자기 학습과 자기 성찰의 힘을 키워가야 합니다. 어떤 상황에서도 냉정함을 잃지 않고 침착하게 문제를 해결해 나가고 정확한 판단력과 리더십, 강한 책임감이 교사에게 요구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