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인간과 교육 필요성
인간과 교육의 필요성을 논하기 전에 다양한 인간이해의 관점이 있음을 이해해야 합니다. 인간은 다른 동물과 달리 태어나면서부터 가지고 있는 능력을 발휘하기 위해서 교육이 필요합니다. 인간에게 있어서 교육은 꼭 필요한 행위입니다. 이렇게 인간에게 교육이 필요하다고 말하는 것은 인간은 교육이 가능한 존재라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교육이 가능하다는 것은 변화를 전제로 하는 말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까지 변화가 가능한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합니다. 인간에게 교육이 필요하다고 말하는 것은 인간이 그만큼 미성숙한 존재라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미성숙이라는 단어는 부족이나 결핍을 의미합니다. 교육에서는 미성숙을 듀이의 견해처럼 성장할 수 있는 잠재적인 가능성을 뜻할 수 있습니다. 인간은 다른 동물과 달리 환경에 바로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합니다. 하지만 동물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잠재능력을 가지고 태어났습니다. 인간에게는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고 인간만이 교육활동을 통해 기본적인 가치를 실현해 갈 수 있습니다. 한 아이가 뛰어난 소질과 재능을 갖고 태어났을지라도 인간 사회의 교육적 영향을 받지 않았거나 교육을 받지 않으면 동물과 다를 바가 없을 것입니다. 우리의 삶은 교육과 분리되어서 살 수 없습니다.
인간과 교육 가능성
인간으로서 존엄적 가치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교육이 필요합니다. 인간에게 교육의 가능성을 논한다는 것은 교육이 가능한 존재라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인간의 가소성에 대한 토의는 인간의 특성을 설명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인간을 교육이 필요한 존재로 보고 인간 교육 가능성에 대한 논의를 제시한 사람은 독일의 교육사상가인 베버입니다. 그는 교육의 가능성을 인간의 결정론에 근거한 '교육비관주의' 관점에서 제시했습니다. 이 관점에서 볼 때 인간은 전반적으로 미리 결정되어 있는 존재기 때문에 교육을 통해 나올 수 있는 결과는 각각의 개인에 의해 정해졌습니다. 교육을 통해 인간으로부터 의도된 어떤 변화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교육낙관주의' 입장이 제시되었습니다. '교육사실주의' 관점도 요구됩니다. 헤르바르트'는 '교육이 실제로 할 수 있는 것보다 교육의 능력을 과다평가하고 과소평가해서는 안됩니다.'교육사실주의' 관점이 교육의 가능성을 해석하는데 가장 책임감 있는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교육의 가능성을 해석하는 다양한 입장들이 있는 것은 그만큼 교육활동이 다면적이고 복합하기 때문입니다.
한계성
인간 교육의 가능성이 인정한다고 해서 한계성이 없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인간의 모든 조건을 초월하여 교육시킨다 하더라도 변화하는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교육의 한계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유전과 환경을 들 수 있습니다. 인간의 생식세포는 유전형질에 의해 선천적으로 결정되었기 때문에 후천적인 영향에 희애 변화될 수 없습니다. 인간 교육의 한계성을 설명하는 요인으로 환경을 들 수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환경은 교육을 포함한 후천적인 요인을 말합니다. 그것은 자연적·사회적·경제적·문화적 환경을 포괄하고 있습니다. 환경은 개체를 둘러싸고 있는 외부의 세계라고 말하지만 단순히 외부의 세계만이 환경이 될 수는 없습니다. 환경은 인간과 기능적인 관련을 맺고 인간의 행동을 규정할 때 진정한 의미의 환경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가능성을 지닌 아동은 환경적 조건들에 의해 신체적·지적·정서적 형태를 갖추게 됩니다. 출생 시부터 이러한 다양한 가능성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교육을 통해서 발현하게 됩니다. 신천적으로 타고난 유전은 환경 여하에 따라 그 개발과 성장을 제한하게 되고 이것을 통해 교육의 한계가 결정됩니다. 환경 조건에 따 환계를 지닐 수도 있습니다.